본문 바로가기
Visualization

[태블로] 데이터시각화: 기본기능 살펴보기, 막대그래프(바 차트)는 왜 많이 사용될까? 수평vs수직

by 공부기 2023. 11. 7.

예전에 수업에서 태블로를 잠시 맛보고 최근에는 좋은 기회로 따로 데이터 시각화 프로젝트를 하며 태블로를 사용해봤습니다. 사실 쉽게 될 줄 알았는데 머리에 그려놓은 대로 마음대로 되지 않고, 시각화 경험과 지식이 많이 없어서 진행하며 어려움을 좀 겪었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 전처리 외에 시각화 관련해서는 주로 이런 상황에서는 어떤 차트를 사용해야 할까?, 이렇게 표현하려면 값을 어떻게 넣어야하지?, 어떤 값을 기준으로 보여줘야 할까? 등등 많은 고민들을 많이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무작정 데이터를 올려 일단 아무거나 올리고 봤던 전과 다르게 시각화 툴인 태블로의 기본차트부터 기능까지 천천히 이해 해보려고 합니다. 나중에는 대시보드와 스토리까지 만들어 효과적으로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1. 바 차트

바 차트는 막대그래프로, 거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차트입니다. 현장에서도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럼 바 차트는 왜 이렇게 많이 활용되는 것일까요?
 
물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차트가 있겠지만, 바 차트의 경우 일단 간편하기도 하지만 역시 차트가 가지고 있는 직관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 있는 여러 차트로 바 차트가 유용한 경우를 보겠습니다.
 
제품 카테고리 별 매출을 바 차트, 파이차트, 버블차트, 트리맵 네 가지로 표현해보았습니다. 
가장 매출이 높은 제품 카테고리를 보려고 한다면 어떤 차트를 통해 비교해보는 게 쉬울지 봅시다.
 

 
 
이 네 가지 차트들 중에 한눈에 들어오는 건 바 차트입니다. 전자제품의 매출이 가장 높은 걸  바로 확인할 수 있네요. 나머지 카테고리인 가구와 사무용품의 경우는 얼마 차이 안 나는데도 바 차트를 통해 둘 중 가구가 매출이 더 높다는 것까지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나머지 세 차트의 경우 눈으로만 보기에는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어서 명확하게 대답하기 어려워보입니다. 
이는 막대그래프는 막대의 길이를 통해 값을 표현하는데, 나머지 그래프의 경우 각도나 넓이을 통해 값을 표현하기 때문에 미세한 차이의 경우 위의 예시처럼 막대그래프가 비교적 값의 크기를 인식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이렇게 바 차트는 구체적인 수치를 비교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그러고나서 문득 막대차트에 대해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막대그래프 하면 수직(세로)일 때가 있고 수평(가로)으로 표현된 경우가 있는데 두 차이는 무엇일까?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다. 이에 대해 알 알아본 내용도 정리해보겠습니다.
 
 
 

1-1 막대그래프 상황별 사용: 수직vs수평

어떤 상황에 수직, 수평 막대그래프를 활용하면 좋을지 표로 먼저 정리해보았습니다.
 

종류수직 막대 그래프수평 막대 그래프
사용· 트렌드 파악
· 순위 비교
· 달성도 확인
· 항목이 많은 경우

 

 

 •  수직 막대 그래프: 트렌드 파악, 순위 비교 

 
 - 트렌드 파악
막대 그래프는 트렌드를 파악할 때도 좋습니다. 만약에 슈퍼스토어에서 연매출을 늘리기 위한 프로모션을 기획하고자 하고, 여태껏 진행해왔던 프로모션이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간 매출 트렌드를 살펴본다고 가정합시다.
 

 
먼저 표를 통해 보면 연도별 매출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2019년에는 조금 줄었지만 그 이후는 매출이 많이 늘어난 걸 확인할 수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연도별 차이가 얼만큼 늘고 줄었는지 그래프를 그려서 보면 매출 트렌드가 한눈에 보여질 것입니다.
 
이를 위해 슈퍼스토어 연매출 합계를 막대그래프로 표현해보았습니다.
 

 
 
확인해보니 연도별 매출에 따라 막대의 높이가 달라서 한눈에 매출 증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19년에 조금 줄었지만 2020년부터는꽤 많은 매출 상승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 진행한 프로모션이 성공적이기 때문일 수 있으므로 이를 참고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 순위 비교
수직 막대그래프는 순위를 비교할 때도 유용합니다. 2021년에 매출이 가장 높았습니다. 그럼 2021년 분기별 매출은 어떻게 되는지 보고자 합니다.
 
 

 
이 바 차트를 통해 4분기 매출이 가장 높은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후기로 갈수록 분기 매출이 오르네요. 프로모션 효과가 꾸준히 좋은가 봅니다(ㅎㅎ)
 
일반적으로 막대 그래프에서 가로축에 배치된 데이터가 세로축에 배치된 데이터보다 더 눈에 띈다고 합니다. 지금은 가로축에 '분기'를 배치하고, 세로축에 '배출합'을 배치해서 분기별 매출 차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됩니다. 
 
 

 •  수평 막대 그래프: 달성도 확인(판매실적 등) 항목이 많은 경우

- 달성도 확인
직원의 판매실적이나, 매출실적 등 목표 달성을 얼마나 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평 막대그래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매출실적을 조금 더 세부적으로 보고 싶어서 2021년에 분기별 목표치를 얼마나 달성하였는지 알아본다고 하겠습니다. 이렇게 달성도를 확인할 때는 수평 막대 그래프로 그려줄 수 있습니다.
 
위에서 그린 수직 분기별 매출 수직 막대그래프를 수평으로 바꾸어보겠습니다.
 

 
수평 막대그래프가 되면 수직과 반대로 '매출합'을 가로축에 배치해서 매출합을 강조하게 됩니다. 보조선에 얼마나 도달했는지 볼 수 있어서 목표치가 있다면 목표를 달성한 분기를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목표치에 참조선을 표현하면 조금 더 눈에 띌 것 같아 추가해보겠습니다.
 

 
목표 매출을 2억이라고 표시해보았습니다. 이 목표치에 도달한 분기는 3, 4분기입니다.
 
 
- 항목이 많은 경우
시도별 매출 그래프를 수직으로 그려보겠습니다. 시도는 앞에서 본 그래프들과 달리 항목이 좀 더 많습니다. 사람의 시선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Z 모양으로 움직이는 데 익숙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항목이 많은 그래프를 그린다면 Z모양으로 읽히지 않아 읽는 데 조금 힘들 수 있을 것입니다. 시도레이블 같은 경우도 항목이 많아서 잘리는데, 이는 대각선으로 표시할 수 있겠지만 정상적으로 나열되어있을 때보다 잘 읽히지 않습니다.
 
이를 수평 막대그래프로 바꾸어보겠습니다.
 

 
 
이렇게 항목이 많은 경우 수평 막대 그래프로 그리면 조금 더 잘 읽히는 것 같습니다! 사람이 익숙한 시선 방향대로 읽을 수 있고, 레이블도 잘 정열되어있어 항목을 좀 더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주제에 대해 찾아보다가 KBS지지율 그래프 논란을 중심으로 다양한 차트에 대한 내용이 있는 글을 발견했는데 비슷한 내용이 있고 재미있는 것 같아 공유해봅니다.
 
https://ppss.kr/archives/21653

KBS 기자님을 위한 엑셀 차트의 핵심

KBS 지지율 그래프 논란으로 말들이 많다. 그런데 지지율 엑셀 그래프 문제는, 어떤 사악한(?) 의도가 들어 있다기 보다는, 그냥 엑셀과 통계를 잘 모르는 사람이 만든 실수라고 봐야 한다.   KBS는

ppss.kr

 
 
 
 
 
여기까지 태블로를 통해 바차트, 막대그래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바 차트를 만드는 법과 매우 간단하게 기능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2 태블로 바 차트 만들기

SuperStore KR 데이터를 사용했습니다. (원작 - 태블로 코리아 우재하 이사 / 수정 - VizLab)
이 데이터에서 제품 카테고리와 판매(sales)를 활용해서 바 차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바 차트는 간단하게 측정값(sales)를 더블 클릭하고, 바 차트를 구분할 차원(Product Category)를 더블클릭 하면 만들어집니다. 직접 열과 행에 드래그 해도 됩니다.
 
만약 가로 방향의 바 차트를 만들고 싶다면 직접 행과 열을 옮기는 방법도 있지만 간단하게
 

 
행과 열 바꾸기 아이콘을 클릭해서 바꿀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차트는 자동으로 합계처리가 됩니다.
태블로는 기본적으로 집계를 통해 측정값을 표현합니다. 이 측정값은 물론 변경이 가능합니다.
 
 
 

태블로 집계방식 변경하는 방법

 

 
1. 필드의 기본속성-집계에서 집계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2. 시트에 올리고 집계방식을 변경할 수도 있다.
 
 
 
아래는 몇 가지 집계 방식을 적용해서 모아본 대시보드입니다.
다양한 집계방식을 적용해서 하나의 측정값으로 여러 차트를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이 차트를 그리며 색상도 추가해보았는데
이런 추가적인 시각화 요소는 시트 바로 옆에 보이는 '마크카드'를 활용해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다음은 마크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마크 카드 활용: 색상, 크기, 텍스트, 세부정보, 도구설명

마크카드를 사용하면 색상, 크기, 레이블 등을 설정해서 다양한 시각화 요소를 활용해볼 수 있습니다.
 

 
 
시트 창에서 이런 마크카드를 볼 수 있습니다
일단 시도별 매출 막대그래프를 통해 하나씩 적용해보겠습니다.
 

 
행과 열에 시도와 매출을 올려두면 기본적으로 이런 파란색상의 바차트가 만들어집니다.
바차트를 확인해보니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걸 알 수 있네요.
 

2-1 태블로 그래프 색 변경: 색상

그래프 색을 바꿔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마크카드의 요소를 활용하려면 데이터에 있는 필드를 해당 요소에 드래그를 하면 됩니다.
 

 
시도별로 색상을 주기위해 시도 필드를 색상에 드래그해주었습니다.
 

 
그럼 이렇게 알록달록하게 색이 입혀집니다. 
 

 
색상을 클릭해서 색상 편집을 들어가면 여러 팔레트를 볼 수도 있고 사용자 팔레트도 만들 수 있으며, 오른쪽에 떠있을 범례에서도 색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는 시도별로 색상을 주었는데 만약 매출로 색상을 주면 어떻게 될까요?

 
매출로 색상을 주면 알록달록했던 시도별 색상과 달리, 이렇게 한 색상으로 그라데이션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방식이 다른 경우는 연속형불연속형의 차이 때문입니다.
 
매출이 가장 높은 경기도가 가장 진한 파란색을 띠고 매출이 적을수록 색이 옅어지네요.
 
 
 

2-2 태블로 그래프 크기 변경: 크기

다음은 크기를 활용해 보겠습니다. 크기에 매출을 넣어보면 막대 굵기가 시도 매출합계에 따라 표현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매출에 따라 크기가 표현됩니다. 색상 범례처럼 크기 범례 또한 굵기 차이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2-3 태블로 그래프 레이블 추가: 레이블

레이블로 표현하고 싶은 필드를 레이블에 올리면 레이블이 추가됩니다. 그래프에 시도별 매출합계가 그려져 있으니 레이블에 매출합계를 올려주었습니다.
 

 
레이블에 대한 서식도 설정할 수 있는데, 위에 있는 기본메뉴들 중에 서식을 활용할 수 있고 저는 주로
 

 
 
이렇게 마크 카드의 레이블을 클릭해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텍스트 옆에 ...을 클릭하면 레이블 편집이 뜨는데, 여기서 레이블 서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레이블 옆에 글자를 추가하고 싶다면 원을 쓰면 레이블에 (합계)원이 추가됩니다.
 
 

 
레이블을 추가하여 각 시도별 매출이 얼마인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가장 높은 매출이 발생한 경기도는 6억 5천만 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매출이 가장 적은 곳은 세종특별자치시로 1400만 원 정도의 매출이 발생하였습니다.
 
 

2-4 태블로 그래프 세부정보: 그래프 변화 없이 화면 나누기

세부정보는 앞의 세 역할과 비슷하기도 하지만 다른 점은,
해당 필드에 따라 값을 나누지만 추가적인 시각화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만약에 제품 카테고리별 매출 합을 고객군에 따라 살펴보고 싶다면 앞에서 살펴본 마크카드 기능에서 색상, 크기, 레이블에 추가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고객군에 따라 색이 다르거나, 크기가 다르거나, 레이블이 붙게 됩니다. 시각화한 결과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이렇게 나타나는데 세부정보의 경우 시각적으로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부정보를 설정한 시트에 마우스를 오버하면 해당 고객군에 대한 매출 합을 볼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즉, 세부 정보 기능은 어떤 필드로 나누고 나누고 싶은데 추가적인 시각화 요소가 필요 없을 때 세부정보 위에 필드를 올려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구설명은 간단하게 짚어보면, 이 도구도 추가적인 시각화 요소 없이 위 사진처럼 마우스 오버를 했을 때 나타나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도구 설명에 올린 필드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참고: let's 태블로 쉽게 따라하는 데이터 시각화, 사례 분석으로 배우는 데이터 시각화

 


 
 
 
사실 태블로를 간단하게 둘러보고 기능 몇 가지에 대해서만 정리해보려다가 바차트를  그리니 해당 차트에 대해서도 궁금해져서 바 차트에 대해서도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사실 여태껏 차트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해본 적 없었는데 상황에 맞는 차트를 사용하는 게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아 알아가는 재미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