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

효율적으로 지표를 관리하는 프레임워크: AARRR 간단하게 알아보기 과업 기반 지표관리 vs 프레임워크 기반 지표관리 지표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알아보자 AARRR의 각 알파벳 의미를 알아보기 전에 이 프레임워크가 나오게 된 이유를 먼저 알아봅시다. 역시 지표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우리 서비스의 지표를 어떻게 측정하고 관리하는가? 에 대한 방법이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과업기반(Task-based) 지표관리 과업 기반의 지표관리는 팀별로 담당하는 엄무를 정의한 다음, 해당 업무를 하면서 발생하는 지표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예시 마케팅팀: 이번 할인 이벤트 참여자는 1000명 입니다. / 지난달 구글 검색광고 키워드별 CTR은 평균 3.0% 입니다. 개발팀: 이번 배포에 총 10건의 버그 수정이 포함되었습니다. 운영팀: 지난주 강성 CS가 2건 발생했으며, 보상액은 .. 2024. 3. 31.
우리 서비스가 시장이 원하는 서비스일까? 제품 시장 적합성 (PMF)과 지표: 리텐션, 전환율, NPS 그로스해킹 어떻게 하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까? 제품을 만들 때 전통적으로는 '기획 - 생산 - 판매' 과정으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기획과 생산 단계에서 많은 노력을 들이는 것이 성공하는 제품을 만드는 방향이었던 것입니다. 이 시기에는 시장이 기대하는 바가 명확하였고, 좋은 품질의 제품이라면 고객은 돈을 지불하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과거에는 명확한 성공 방식이 통하지 않습니다. 고객의 취향이 세분화 되었기 때문입니다. 시장에 제품을 내놓기 전까지는 성공을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많은 경쟁자들과 유행이나 트렌드가 한순간에 바뀌는 시대입니다. 요즘 IT 서비스는 출시 후에 지속적으로 개선과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꾸준히 개선해나갑니다. 출시가 끝이 아닌 시작인 것입니다. 처음부터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 2024. 1. 29.
[태블로] LOD(Level of Detail)이란? 차원값vs측정값, 태블로 계산의 이해 태블로의 LOD (Level of Detail)를 이해하고 태블로에서 일어나는 계산 방식에 대해서 정리보았습니다. Level of Detail은 태블로 작동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개념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잘 이해하면 LOD함수, 세부수준식(Level of Detail Expressions) 활용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먼저 태블로의 작동방식을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태블로: 기본적으로 숫자를 집계해서 요약 태블로는 데이터 원본을 변경하지 않으며, 필드를 올리면 데이터 값, 원본을 그대로 보여주는 게 아니라 기본적으로 '집계' (aggregation)를 통한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집계에는 합계(sum), 평균(average), 최대값(maximum), 최소값(minimum) .. 2023. 12. 4.
[태블로] 데이터시각화: 기본기능 살펴보기, 막대그래프(바 차트)는 왜 많이 사용될까? 수평vs수직 예전에 수업에서 태블로를 잠시 맛보고 최근에는 좋은 기회로 따로 데이터 시각화 프로젝트를 하며 태블로를 사용해봤습니다. 사실 쉽게 될 줄 알았는데 머리에 그려놓은 대로 마음대로 되지 않고, 시각화 경험과 지식이 많이 없어서 진행하며 어려움을 좀 겪었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 전처리 외에 시각화 관련해서는 주로 이런 상황에서는 어떤 차트를 사용해야 할까?, 이렇게 표현하려면 값을 어떻게 넣어야하지?, 어떤 값을 기준으로 보여줘야 할까? 등등 많은 고민들을 많이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무작정 데이터를 올려 일단 아무거나 올리고 봤던 전과 다르게 시각화 툴인 태블로의 기본차트부터 기능까지 천천히 이해 해보려고 합니다. 나중에는 대시보드와 스토리까지 만들어 효과적으로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 2023. 11. 7.